2024. 12. 26.김석 기자 (KBS)

자연 속으로 들어가 그림이 되다…화가 임동식의 ‘자연미술’

원문바로가기

대한민국 미술가 열전(43) 임동식 편

미술대학을 졸업한 화가 임동식이 가장 먼저 달려간 곳은 ‘자연’이었습니다. 몸으로 부딪치고 호흡하며 야외 현장 예술에 매진했고, 1991년 금강 국제자연미술전에서 임동식은 옷 입은 모습을 알몸으로 바꾸는 행위를 통해 순수 자연에 도달하고자 했습니다. 그리고 시간이 흘러 마흔일곱이 돼서야 비로소 붓을 들었죠.

2023년 9월, 가나아트센터에서 화가를 만났습니다. 한국 자연미술의 선구자로 불리는 임 화백의 50년 예술 여정을 회화와 드로잉 130여 점으로 만날 수 있었던 뜻깊은 자리였죠. 인터뷰에서 화가는 이렇게 말했습니다. “자연을 스승 삼아서 자연의 에너지가 인도하는 그 세계로 따라가다 보면 좋은 것을 얻을 수 있습니다.”

다시, 임동식의 예술을 돌아봅니다.

이 포스트가 도움이 되었습니까?

김석 기자 (KBS)의 인기 포스트 beta

  • "진달래 꽃이 피었습니다"..팬데믹 위로하는 봄빛 향연

    대한민국 미술가 열전(53) 김정수 편 어떤 이는 이렇게 말할지도 모릅니다. 맨날 똑같은 진달래만 반복해서 그리는데, 저기서 어떤 의미를 찾을 수 있겠느냐고. 사실 그동안 수많은 미술가의 수많은 작품을 취재해 뉴스로 소개해 왔지만, 김정수 작가를 소개한 뉴스만큼 여기저기서 반응이 뜨거웠던 적이 없습니다. 소쿠리에 수북하게 쌓인 진달래는 내 자식 배부르게 먹으라고 밥그릇에 넘치도록 담은 고봉밥을 떠올리게 합니다. 그것은 곧 어머니의 마음입니다. 그림이라는 게, 예술이라는 게 뭘까요. 그림을 보면서 어린 시절 따뜻했던 어머니와의 추억, 가난해도 행복했던 소중한 기억을 떠올릴 수 있다면 그 그림은 세상 어느 유명한 화가의 명작보다 감상자에게 더 큰 의미가 될 겁니다. 그것이 바로 그림의 힘, 예술의 힘입니다.

  • 원석연, 연필 하나에 담은 우리네 삶과 시대정신

    대한민국 미술가 열전(60) 원석연 편 연필화에 목숨을 건 화가. 지독한 연필주의자. 연필그림만 60년을 그린 원석연은 오로지 연필로만 그림을 그린, 한국 미술사에서 아주 특별한 존재입니다. 생의 대부분을 전업 화가로 살면서 개인전이 아닌 그룹전과 단체전에 일절 출품하지 않았죠. 원석연이란 이름은 잘 몰라도 ‘개미 화가’ 하면 무릎을 탁 치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. 원석연이란 이름을 유명하게 만든 것이 바로 개미 그림이었거든요. 원석연의 개미그림은 단순한 드로잉이나 스케치 수준이 아닙니다. 화면의 크기에 놀라고, 미친 디테일에 또 한 번 놀라게 되죠. 언젠가 원석연의 전시회가 꼭 열렸으면 좋겠습니다.